공리주의 검색 결과, 1
다수의, 다수를 위한, 다수에 의한 추론의 결론은 무엇이 옳은가
참으로 흥미로운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다. 바로 EBS에서 방영중인 '하버드 특강'이라는 프로그램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이자 하버드 정치철학 교수인 '마이클 센델'이 나와 강연을 한다. 긴가민가한 기분으로 쳐다보고만 있었는데 흥미로운 주제로 스토리텔링으로 시작된 강연은 나를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먼저 결과론적 도덕성, 정언적 도덕성이 갈라졌는데 이렇게 딱 2가지로 나누어지는 것이 맞는건가. 이렇게 나눈 기준이 무엇이 효력을 발휘했을까. 무엇이 떠올랐기에 이런 추론들이 나눠졌는가부터 의문이 들었다. 아래는 그 2가지를 설명한 스틸컷이다. 결과와 의무와 권리에 따라 추론이 정해졌다. 먼저 정한 것에 대한 따라가는 것에 대한 추론따윈 없는건가. 하기야 인간으로서의 의견에 대한 판단은 결코 여러가지로 나..